안녕하세요
야구에서 특정 선수(A)와 특정 팀 타선(예: 기아) 간의 상성을 확인하려면 주로 맞대결 기록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접근합니다.
방법은 크게 네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공식 기록 사이트 활용
KBO 공식 기록실(KBO 홈페이지 → 기록 → 선수 기록 → 타자/투수 맞대결)
스포츠 데이터 사이트(스탯티즈 statiz.co.kr, 야구기록실 등)
선수 A를 검색한 뒤, “상대 팀별 기록” 또는 “상대 타자별 기록”을 확인합니다.
예를 들어 투수라면 기아 소속 타자들 각각과의 타율, OPS, 삼진, 홈런 허용 등을 볼 수 있습니다.
타자라면 기아 투수들 상대로의 타율, 장타율, 볼넷/삼진 비율 등을 확인합니다.
2. 시즌별·통산 기록 분리
시즌별로 기록을 분리하면 최근 트렌드(폼 변화, 부상 여파, 구종 변화)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
통산 기록은 표본이 크지만, 오래된 데이터일수록 현재 실력과 다를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3. 세부 구종·상황 분석
일부 사이트(스탯티즈, KBO 기록실, 네이버 스포츠 상세 기록)에서는 구종별 성적, 홈/원정별 성적, 득점권 상황 등을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선수 A가 슬라이더 위주의 투수인데, 기아 타선이 슬라이더에 약하면 상성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4. 직접 데이터 가공하기
더 세밀하게 보려면 기록을 엑셀로 내려받아 타자별, 구종별, 상황별로 피안타율·OPS 등을 계산합니다.
최근 1~2년 기록만 필터링하면 현재 전력에 맞춘 상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정리
KBO 공식 기록실이나 스탯티즈에서 선수별 → 상대 팀별·타자별 기록 확인
시즌별로 나누어 최근 경향 반영
구종·상황별 데이터도 참고해 세밀하게 분석
필요하면 데이터를 내려받아 직접 필터링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까해서 좋은 정보를 추가로 드립니다.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모든 지원금 정보가 잘 정리되어 있는 글이 있어 공유드려요.
생각보다 받을 수 있는 지원금들이 수십에서 수천만원까지 너무 많더라구요.
8월에만 받을수 있는 지원금들이 있으니 꼭 신청해서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